탄호이저 Tannhäuser
현성
Oct 15, 2024
0
《탄호이저》(독일어: Tannhäuser, 또는 Tannhäuser und der Sängerkrieg auf die Wartburg) WWV.70은 바르트부르크의 노래 경연대회와 탄호이저에 관한 독일 전설을 기초하여, 리하르트 바그너가 작곡하고, 대본을 작성한 3막의 독일어 오페라이다.
때와 장소: 13세기 초, 튀링겐의 바르트부르크 (Wartburg)
등장인물: 헤르만, 튀링겐의 영주 엘리자베트, 영주의 조카딸 탄호이저, 음유시인 볼프람 폰 에션바흐, 음유시인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 음유시인 하인리히 데어 슈라이버, 음유시인 비테롤프, 음유시인 라인마르 폰 츠베터, 음유시인 베누스, 사랑의 여신 비너스 목동, 4명의 시동
1막
1, 2장 베누스베르크 (베누스의 성)의 동굴
탄호이저는 미의 여신 베누스와 오랜 애욕을 나날을 보냈지만 이제는 그녀를 떠나고 싶어 한다. 탄호이저는 성적인 쾌락도 좋지만 베누스베르크에 가득한 장미빛 향기를 떠나 고향의 자연을 느끼고 싶어한다. 탄호이저는 쾌락만으로 가득찬 삶이 지겨우니 변화와 자유를 갈망하노라고 하자 베누스는 그에게 실망하며 베누스성을 떠나더라도 다시 내게 돌아오게될 거라 한다. 탄호이저는 이에 결코 그녀에게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 하고 베누스는 그가 돌아오지 않으면 그녀의 저주를 받을 것이라 경고한다. 결국 탄호이저는 회개와 속죄로 안식을 얻고자 한다고 하며 '나의 구원은 성모 마리아에 있소'라고 외치게 되고 베누스의 성은 사라져 버린다.
3장 바르투부르크 성 근처의 골짜기
탄호이저는 현실 세계로 돌아오게된 자신을 발견한다. 목동이 지나가며 아름다운 5월을 찬양하고, 종교적인 죄를 씯고자 로마로 구원을 찾아 순례를 떠나는 무리가 지나가고 목동은 그들의 안부를 빌고 탄호이저는 자신의 죄를 뉘우치며 무릎을 꿇고 기도한다.
4장
영주가 기사들과 사냥에서 돌아오던차 탄호이저를 발견하고는 그의 이름 (하인리히)을 부른다. 탄호이저는 오만하게 그 고장을 떠났던 차라 다시 돌아온 그가 친구로서 온 것인지 적으로서 온 것인지 모두들 묻는다. 탄호이저의 친구 볼프람은 그의 표정으로 보아 오만하지 않다며 그를 환영하자 모두들 같이 환영한다. 영주는 그가 그렇게 오래 어디에 있었는지 묻자 탄호이저는 그저 멀고 먼 나라를 헤매었다고 답하고 영주와 음유시인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다시 떠라려 한다. 이 때 볼프람이 '엘리자베트를 위해 머무르시오'라고 하자 그는 기뻐하며 멈춘다. 이에 볼프람은 탄호이저의 노래에 정숙한 엘리자베트가 매혹되었으나 그가 오만하게 떠나갔을 때 그녀도 노래를 멀리하게 됐노라 설명한다. 음유시인의 축제에 엘리자베트가 다시 참석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부탁한다. 이에 탄호이저는 격렬히 기뻐하며 사람들과 화해하며 엘리자베트에게 데려가 달라고 외친다. 기사들은 탄호이저에게서 오만함을 내쫗은 고귀한 힘을 찬양한다.
2막
1장 바르투부르크 노래의 전당
탄호이저가 돌아왔다는 소식에 다시 노래의 전당을 찾은 엘리자베트는 사랑하는 전당에게 인사를 보낸다.
2장
볼프람의 소개로 탄호이저는 엘리자베트와 재회한다. 엘리자베트는 그가 돌아와서 감사하노라고 하고 그를 다시 돌아오게 한 것이 무엇이었냐고 묻자 탄호이저는 신비스럽게 높은 기적이었노라 답한다. 이에 그녀는 그 기적을 찬양하고 그가 떠난 후 잃어버린 기쁨에 대해 얘기하며 둘은 기뻐한다. 엘리자베트를 몰래 흠모하고 있던 볼프람은 이를 지켜보며 자신의 희망이 사라졌노라 탄식한다.
3장
영주가 노래의 전당으로 들어와서 다시 그 곳을 찾은 조카딸 엘리자베트를 반긴다. 영주는 엘리자베트의 속 마음을 털어놓기를 권하지만 엘리자베트는 수줍어한다. 영주는 노래경연의 시작을 선포한다.
4장
기사들과 귀족, 부인과 시종 등이 입장하며 영주를 찬양한다. 영주는 탄호이저를 환영하는 축제를 마련했으며 그를 우리 옆으로 돌아오게 한 것이 무엇인지 그의 노래에서 밝혀내보자고 한다. 그러며 사랑의 본질을 밝힐 수 있겠느냐고 하며 그것을 밝혀내어 가장 멋있게 노래한 사람이 엘리자베트의 상을 받게 될 것이라 한다. 4명의 시동이 음유시인의 이름이 적힌 두루마리를 엘리자베트에 건내자 그녀는 하나를 펴서 시동에게 돌려준다. 시동이 볼프람의 이름을 불러서 볼프람부터 노래하기 시작한다.
볼프람은 사랑의 샘을 불결하게 더럽히지 않고 싶다고 하자 청중들은 그의 노래를 높이 사지만 탄호이저만 갑자기 일어나 자신은 입술로 샘물을 맛볼 것이며 그래야 샘이 마르지 않노라며 자신이 정말로 사랑의 본질을 안다고 노래한다. 엘리자베트는 탄호이저의 노래에 끌려 찬동하려 하지만 모두가 침묵하므로 부끄러운 듯 물러선다.
이제 발터가 갈증으로 목타하는 탄호이저는 그 샘을 진정으로 알지 못하며 입술이 아닌 마음이 통해야 하노라고 노래한다. 청중들의 찬동에도 탄호이저는 거칠게 발터를 비판한다. 탄호이저는 마음이 아니라 육신의 향락에서 사랑을 찾노라고 노래하자 청중들은 크게 동요한다. 이에 비테롤프가 탄호이저를 패륜아로 부르며 나서자 기사들이 칼을 빼어들며 이에 찬동한다. 탄호이저는 허풍장이, 잔인한 늑대로 비테롤프를 비유하며 싸울 가치가 없노라고 한다. 기사들은 흥분하지만 영주는 이를 말리고 다시 볼프람이 나서서 하느님과 사랑의 고귀함을 노래하자 탄호이저는 극도의 황홀경에 빠져 베누스 사랑의 여신을 찬양하며 그녀의 사랑을 알지 못하는 분들은 베누스의 성으로 떠나라고 노래한다. 이에 모두들 탄호이저가 과거에 있었던 곳이 베누스베르크임을 알고 경악하며 귀부인들은 떠나간다.
영주, 음유시인들, 남은 기사들은 지옥의 환락에 빠졌던 탄호이저를 저주하며 그를 재판하고 추방하자며 칼을 빼든다. 이 때 엘리자베트는 앞을 가로막으며 탄호이저를 보호하려 한다. 사람들은 엘리자베트를 배반한 탄호이저의 목숨을 왜 구해주냐고 묻는다. 엘리자베트는 탄호이저의 구원이 그녀에게 소중하다고 하자 사람들은 그에게는 이미 저주가 내렸으므로 구원받지 못할 것이라 한다. 엘리자베트는 여러분이 그를 심판할 수는 없노라고 하며 그에게 참회의 길을 떠나도록 해달라고 부탁한다. 사람들은 엘리자베트의 천사같은 말에 감동한다. 탄호이저는 엘리자베트가 그를 구하는 천사임을 모르고 그녀에게도 육욕의 시선을 보냈던 것을 부끄러워한다. 결국 영주는 죄인 탄호이저를 추방하며 로마로 참회를 위해 순례의 길을 떠나는 순례자들을 따라 떠나도록 명령한다. 엘리자베트는 탄호이저의 죄를 용서해줄 것을 기도하고 탄호이저는 이토록 나를 지켜주는 천사 (엘리자베트) 덕에 용서받을 수 있을 것이며 천사는 나를 위해 제물이 되었노라고 하며 엘리자베트의 가운 자락에 입을 맞추고 '로마로'라고 외치며 순례자들을 따라 급히 떠난다.
3막
1장 바르투부르크 성 근처의 골짜기
때는 가을. 날이 저물어가는 시각. 성모상 앞에 엘리자베트는 기도하고 있고 볼프람이 숲에서 내려오다 그녀를 보고 멈춘다. 멀리서 순례자들이 고향으로 돌아오는 찬송가 소리가 들린다. 엘리자베트는 그들이 돌아왔노라며 기뻐하며 순례자들의 무리에서 탄호이저를 찾지만 그를 발견하지 못하자 슬퍼한다. 순례자들은 사라지고 엘리자베트는 성모마리아에게 기도한다. 탄호이저의 죄가 용서받지 못한다면 대신 그녀의 목숨을 거둬들여 그의 죄를 용서해달라는 내용이다. 볼프람이 지친 엘리자베트를 위로하려 다가서자 그녀는 이를 사양하고 사라진다.
2장
엘리자베트를 사모하는 볼프람은 저녁별에 인사하며 노래부른다. 그녀가 천국으로 가서 축복받는 천사가 되소서라는 말을 저녁별이 대신 전해달라고 부탁한다.
3장
이제 완전한 밤이 되었다. 남루한 순례가의 망토를 입고 창백한 얼굴에 수척한 탄호이저가 등장. 지팡이를 짚고 힘없이 걸어온다. 볼프람은 그를 발견하지만 죄를 씯지 못한 채 감히 다시 돌아왔느냐고 묻는다. 탄호이저는 이 고장에 다시 돌아온 것이 아니라 베누스베르크로 가는 길이라고 말한다. 볼프람은 경악하며 로마에 가지 않았냐고 묻자 탄호이저는 로마얘기는 꺼내지 말라고 괴로워한다.
이를 볼프람이 불쌍히 여겨 동정하자 탄호이저는 볼프람이 자신의 적이 아님을 알고 자신이 로마에서 겪은 얘기를 해준다. 다른 참회자들이 대지의 푸른 초원을 지날 때 자신은 맨발로 가시밭길을 찾아 걸었으며 그들이 샘가에서 물을 마시고 기운을 차릴 때 자신은 태양의 뜨거운 열기를 마셨노라며 고통속에 참회하며 로마에 도착했고 결국 교황을 만나게 됐노라고 한다. 그 앞에서 머리를 땅에 조아려 가슴을 치며 죄를 고백했더니 교황은 '당신은 영원히 저주 받았노라! 내 손에 들고 있는 이 지팡이에 새싹이 파랗게 돋아나지 않으면 당신은 지옥의 뜨거운 불에서 구원받을 수 없노라'고 했다고 말한다. 그는 이제 베누스에게 다시 돌아가는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한다. 볼프람이 말렸지만 탄호이저가 열렬히 베누스를 찾자 정말로 베누스가 등장하여 탄호이저를 부른다. 지옥의 쾌락에 몸을 맡기려는 탄호이저를 잡아 당기며 볼프람은 한 단어가 당신을 자유롭게 할 것이라며 당신은 아직 구원받을 수 있다고 외친다. 그것은 바로 '엘리자베트'라고 볼프람이 외치자 탄호이저는 우뚝 멈춰선다.
내가 졌다면서 베누스는 사라지고 바르트부르크 성에서 장례행렬이 열린 관을 메고 서서히 다가 온다. 장례행렬은 엘리자베스와 그녀가 간구한 죄인에게도 축복을 기원하는 노래를 부른다. 볼프람의 지시로 관이 내려지고 탄호이저는 엘리자베트의 시신을 굽어보고 천천히 쓰러진다. 탄호이저는 '거룩한 엘리자베트, 나를 위해 기도해주오!'라 외치고 죽는다.
이제 날이 밝아 젊은 순례자들이 도착한다. 한복판에 새로 파란 싹이 돋은 지팡이를 가진 순례자가 있다. 그들은 신의 기적을 찬양한다.
탄호이저 실황
탄호이저 해설 1부
탄호이저 해설 2부
<주요 음악>
서곡
(2막) 시작부에 나오는 엘리자베타의 아리아 'Dich, teure Halle, grüß ich wieder(노래의 전당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막) 노래 경연의 개시를 알리는 행진곡(일명 탄호이저 행진곡)
"Freudig begrüssen wir edle Halle" Einzug der Gäste(Entrance of the Guests, Entrance & March of the Guests) / Grand March
(3막) Pilgerchor "Beglückt darf nun dich, o Heimat" / 순례자의 합창(Pilgrim's Chorus)
(3막) 볼프람의 아리아 'O du, mein holder Abendstern(오 당신, 내 달콤한 저녁 별)
Comments
Please login to write a comment. Login
Comments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