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트로바토레 Il trovatore
현성
Aug 21, 2024
0
일 트로바토레 (음유시인)(Il trovatore)는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4막의 오페라이다. 에스파냐 극작가, [안토니오 가르시아 구치에레츠]의 희곡 [부두] (El trovador)을 기초로 [살바도레 캄마라노]와 [레오네 에마누엘레 바르다레] 가 이탈리아어 대본은 완성하였다. 1853년 1월 19일 [로마]의 [아폴로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리골레토, 라 트라비아타와 함께 베르디 중기 작품 '빅3'라고 불린다
<줄거리 >
1409년 스페인을 배경으로 집시 여인의 복수가 형제의 삶을 갈라놓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집시 여인 ‘아주체나’는 루나백작의 아버지에게 화형당한 어머니의 복수를 위해 백작의 어린 아들(가르시아)을 유괴해 살인을 계획한다. 그러나 타오르는 불구덩이 던져 넣은 것은 원수의 아들이 아니라 자신의 아이였다.
아들을 잃은 그녀는 원수의 아들을 키우며 살아간다. 그렇게 집시의 아들로 성장한 ‘만리코(가르시아)’. 장성한 그는 ‘루나 백작’과 성에서 마주친다. 하지만 루나 백작은 어릴 때 헤어졌던 친형이다. 서로의 핏줄을 확인할 길 없는 두 남자는 같은 여자(레오노라)를 사랑하면서 또 한번 대립한다.
루나백작은 체포된 아주체나가 만리코의 어머니이자 그 옛날 동생인 가르시아를 납치한 여자임을 알게 되고 그녀를 투옥시킨다. 만리코는 어머니를 구하기위해 오지만 도리어 백작에게 투옥되고, 레오노라는 만리코를 구하기위해 백작의 사랑을 받아들이기로 약속한다. 백작은 기뻐서 만리코를 살려주겠다고 약속한다.
감옥으로 만리코를 찾아온 레오노라는 도망하라고하지만 만리코는 그 댓가로 그녀의 정조를 받쳤다는 것을 알고 분노한다. 그러나, 독을 먹은 레오노라는 자신의 결백을 죽음으로 증명하고, 만리코는 모든 것을 알고 비탄에 잠긴다. 마침 나타난 백작은 모든 정황을 알게 되어 분노에 가득차서 만리코를 당장 죽일 것을 명령한다.
정신을 차린 아주체나는 미친듯이 만류하며 만리코가 백작의 동생임을 알리지만 때는 늦어 이미 처형된 후이다. 백작은 큰 슬픔에 잠기고, 아체나는 '어머니,복수를 끝냈어요.'라고 말하며 막이 내린다.
<등장인물 >
•루나 백작 (Count di Luna) - 아라곤 공작을 모시는 젊은 귀족(바리톤)
•만리코(Manrico) - 음유 시인, 우르겔 왕자 군대의 병사 (테너)
•아주체나 (Azucena) - 나이든 집시 여인 (메조소프라노)
•레오노라 (Leonora) - 아라곤 공작비의 시녀, 만리코를 사랑함 (소프라노)
•페르란도 (Ferrando) - 루나 백작의 늙은 군인 (베이스)
•이네스(Ines) - 레오노라의 친구 (소프라노)
•루이츠 (Ruiz) - 만리코의 동료 (테너)
•늙은 집시 (베이스)
◇ 대표적인 아리아들
(1막) 레오노라 / 훈훈한 밤. Tacea la notte placida.(2막) 집시들 / 대장간의 합창. Vedi le fosche notturne spoglie.
(2막)아주체나 / 불꽃은 타오르고. Stride la vampa.
(2막) 만리코와 아주체나의 2중창 / 나는 당신의 아들이 아닌가요? Non son tuo figlio.
(2막) 루나 백작 / 그대의 미소는 아름답고. Il balen del suo sorriso.
(3막) 만리코 / 사랑스런 그대여. A si ben mio.
(3막) 만리코 / 타오르는 불꽃을 보라. Di quella Pira.
(4막) 레오노라 / 사랑은 장미빛 날개를 타고 . Damor sull ali rosee.
(4막) 레오노라와 루나백작의 2중창 / 이 괴로운 눈물을 보아서. Mira di acerbe lagrime.
(4막) 만리코와 아주체나의 2중창 / 우리들의 산으로. Ai nostri monti.
일 트로바토레 해설 2부
Comments
Please login to write a comment. Login
Comments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