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마 Norma
현성
Aug 25, 2024
0
노르마(Norma)는 빈첸초 벨리니가 작곡한 2막의 오페라이다. 알랙산드르 수메의 (Norma, ossia L'infanticidio)를 기초로 주제페 펠리체 로마니가 이탈리아어 대본은 작성하였다. 1831년 12월 26일 밀라노의 라 스카라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노르마 실황
노르마 해설 1부
노르마 해설 2부
<등장인물 >
• 노르마 Norma : 드루이드교의 대사제지만 로마 총독 폴리오네와 금지된 사랑을 나눠 아이들을 낳고 그 아이들을 몰래 키운다. (소프라노)
• 아달지사 Adalgisa : 드루이드교의 사제. 폴리오네가 노르마를 배신하고 아달지사를 꾀어낸다. (소프라노)
• 폴리오네 Pollione : 갈리아 지방을 다스리는 로마 총독. 노르마와 사귀고 두 명의 아이까지 낳게 했지만 나중엔 아달지사를 노리고 그를 로마로 데려가려는 생각을 한다. (테너)
• 오르베소 Oroveso : 드루이드교의 남성 제사장이자 노르마의 아버지. 작중에선 다른 드루이드 신자들과 마찬가지로 노르마가 로마 총독의 아이를 낳았다는 사실을 모르는 상태이며 로마에 대한 반발심을 살짝 드러낸다. (베이스)
• 클로틸데 Clotilde : 노르마의 시녀. (소프라노)
• 플라비오 Flavio : 폴리오네의 동료. 1막에서 폴리오네한테 충고해준 후에는 곧바로 퇴장한다. (테너)
• 드루이드 교도들, 전사들
<줄거리 >
1막 1장 드루이드의 숲
드루이드의 지도자 오로베소는 드루이드인들을 이끌고 신성한 숲에서 그들의 신 이르민술의 신탁을 기다린다. 드루이드인들은 총궐기하여 정복자인 로마인들을 이 땅에서 몰아내고자 한다.
노르마는 드루이드인들에게 아직 로마에 대항해서 싸울때가 오지 않았다고 만류하며 평화를 기원하는 노래를 부른다.
노르마 / 정결한 여신이여 .Casta Diva.
한편 노르마와 은밀한 관계로 두 아이까지 둔 로마 총독 폴리오네는 지금 젊은 여사제 아달지사와 열애에 빠져있음을 고백하는 노래를 부른다.
폴리오네 / 비너스의 제단 앞에서. Meco all'altar di venere.
총독 폴리오네는 아달지사를 만나 함께 로마로 가자고 하는데 여사제로서 서약 때문에 처음에는 저항하지만 결국 폴리오네의 열정에 이끌린다.
<1막 2장>
아달지사는 자신이 존경하고 따르는 노르마를 찾아와 자신이 사라에 빠졌다고 고백한다.
노르마, 아달지사 2중창 / 혼자 신전에 있을때. Sola, furtiva al tempio.
노르마는 아달지사의 연인이 누구인지 머르는 채로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며 아달지사를 서약에서 자유롭게 풀어주려 하지만, 그때 폴리오네가 나타나면서 모든 사실이 밝혀진다.
노르마, 폴리오네, 아달지사 3중창 / 아! 네가 끔찍한 사랑의 제물이 되었구나. Ah! di qual sei tu vittima, terzetto.
<2막 1장 노르마의 집>
노르마는 아달지사를 불러 "나는 죽을거야, 너에게 아들을 맡기니 폴리오네는와 함께 떠나라고 당부한다.
그러나 아달지사는 자신이 폴리오네를 설득해 노르마에게로 돌아오게 하겠노라고 하며 노르마와 노래한다.
노르마, 아달지사 2중창 / 부디 저들과 함께 가서.... 아이들을 보세요, 노르마. Deh, con te, con te li prendi, ... Mira, O Norma.
<2막 2장 드루이드의 숲 >
오로베소는 곧 폴리오네가 떠나고 로마에서 더 잔인한 신임 총독이 올것이라고 백성들에게 말한다. 드루이드인들은 로마와 싸울 의지를 확고하게 다진다.
<2막 3장 드루이드 신전 앞의 광장>
아달지사의 간절한 설득에도 폴리오네는 노르마에게 돌아가지 않겠다고 한다. 분노에 찬 노르마는 군대를 소집하고, 드루이드인들은 출정의 합창을 부른다.
드루이드인들의 합창 / 전투다, 전투. Guerra, guerra! le galliche selve.
폴리오네는 아달지사를 찾으러 신전에 숨어들었다가 잡혀서 노르마 앞으로 끌려온다. 노르마는 폴리오네에게 아달지사를 포기하면 살려주겠다고 말하지만 그는 거절한다.
노르마, 폴리오네 2중창 / 마침내 그대는 내 수중에. In mia man alfin tu sei.
노르마는 드루이드인들 앞에서 '정결 서약을 어진 여사제를 화형에 처하겠다' 라고 말한 다음, 그 죄인으로 아달지사가 아닌 자기 자신을 지목한다.
폴리오네는 노르마의 관용에 감동하여 노르마에 대한 사랑을 되찾고, 둘은 화형대에 오른다.
<마지막 장면>노르마, 폴리오네, 오로베소 3중창과 합창 / 제발 아이들이 고통 받지 않게 해 주세요.
Deh! non volerli vittime.
드루이드(Druide ; 참나무로 된 신성한 사람이라는 의미)들은 겨우살이나무와 참나무 외에는 신성시하는 것이 없었는데, 사실 그들은 겨우살이나무에서 참나무 씨앗이 나오는 것으로 믿었다. 그것이 그들이 작은 나무숲 안에서 예배를 한 이유이고(오페라 '노르마'의 첫 장면의 배경이 "신성한 숲"이다)
Comments
Please login to write a comment. Login
Comments
Loading comments...